그것이 알고싶다. 인조잔디 가격
Page info
Writer 주목씨지알 Date21-08-29 00:00 Hit14 Comment0Link
-
https://youtu.be/P1C4heYTQRU 0- Connection
Body
인조잔디가격이 궁금하시죠?
오늘은 바로 인조잔디가격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인조잔디단가를 결정하는 조건
1. 원사 중량
2. 원사 종류
3. 백코팅 상태
4. 인증서 유무
5. 소비자 선택 방법
1. 원사 중량 (01:02)
원사 중량은 인조잔디가격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인조잔디에서 단가를 제일 많이 차지하기 때문인데요.
원사 중량이 높을수록 인조잔디 단가가 높아집니다.
원사 중량이 높은 인조잔디가 어쩌면 제일 좋은 인조잔디라 할 수 있겠죠.
그래서 원사 중량이 높은 인조잔디는 보기에도 좋고 쿠션감도 좋으며
내구성도 오래갑니다. 그러니 가격 또한 비싸지겠죠?
2. 원사 종류 (02:10)
인조잔디 원사를 만들 때 크게 세종류의 소재를 사용합니다.
인체에 해가 없는 재료인 PP 폴리 프로필렌, PE 폴리 에틸렌,
NY 나일론이 그것이죠.
각 소재의 특성은 가격에도 반영이 됩니다.
제일 비싼 소재는 NY 나일론입니다.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좋아서
골프장 인조잔디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다음 소재는 PE 폴리 에틸렌입니다.
낮은 마찰계수로 슬라이딩시 화상을 방지하고 친환경 소재라
인체에 해가 없어 스포츠구장에 적합한 재질입니다.
마지막으로 저렴한 가격의 PP가 있습니다.
인체에 해가 없고 소재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이 쉽지만,
자외선에 약해 실외에 오래 두면 바스러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3. 백코팅 상태 (03:3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코팅은 SBR코팅입니다. SBR은 합성고무로 라텍스 소재를 이용합니다. 백코팅 상태가 좋은 인조잔디는 잘 뽑히지 않는데, 그 이유는 SBR코팅의 고무함량이 높아 인조잔디를 잡아주기 때문입니다.(KS 기준으로는 80N 이상입니다.) 그리고 저렴한 인조잔디의 백코팅 상태를 보면 고무함량이 낮아 SBR고무가 떨어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4. 인증서 유무 (05:08)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인조잔디는 대부분 KS인증을 받고 있습니다. KS인증을 받지 못한 인조잔디는 공공기관에 판매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조잔디 생산업체에서는 KS인증 기준으로 인조잔디를 생산합니다. KS인증 및 각종 인증서를 받고 유지하기 위해선 유지관리 및 품질관리를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인조잔디 단가가 올라갑니다. 반면 인증서가 없고, 관리되지 않는 인조잔디는 저렴합니다. 수입제품 중에는 비싼 수입제품도 있지만, 일반적이 저렴하고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 수입품이 현저히 많습니다.
5. 소비자 선택 방법 (06:00)
인조잔디 단가를 결정하는 조건을 보셨는데요.
이제 인조잔디 가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인조잔디 가격을 단가를
반영하게 됩니다. 그리고 유통비용과 소분 판매 여부에 따라 판매가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롤 단위로 판매되는 경우
50㎡를 기준으로 20mm 조경용 인조잔디의 경우 25만원에서 50만원
사이로 형성돼있습니다. 이렇게 가격이 달라지는 이유가 바로 품질
때문이죠.
#풋살장 #풋살장인조잔디 #인조잔디_고르는법 #인조잔디 #인조잔디시공 #풋살장 #축구장 #축구 #동호회 #조기축구 #축구동호회 #미니풋살장 #인조잔디가격 #가성비 #갓성비 #킹성비
#잔디_고르기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라텍스 #코팅 #인증서 #국가인증 #그것이알고싶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