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서울의 '100년 기상관측소'와 조선 왕실 궁중 떡의 명맥을 잇는 가족의 자부심 | “이어가다, 백 년의 기억 – 서울” (KBS 201212 방송)

본문 바로가기

김영철의동네한바퀴

김영철의동네한바퀴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서울의 '100년 기상관측소'와 조선 왕실 궁중 떡의 명맥을 잇는 …

Page info

Writer KBS 다큐 Date20-12-12 00:00 Hit47 Comment0

Body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토요일 저녁 7시 10분 KBS1)
“이어가다, 백 년의 기억 – 서울” (2020년 12월 12일 방송)

▶ 수많은 계절을 지나 도시의 역사가 된 “서울의 100년 기상관측소”
한양도성 성곽길을 따라 올라오니 서울의 100년 된 명소, 옛 기상청 터에 그대로 자리 잡은 서울 기상관측소를 만나게 된다. 관측소와 함께 있는 국립기상박물관에 들어가 보니 오래된 건물의 느낌이 물씬 풍긴다. 알고 보니 1932년에 처음 지어진 기상관측소 건물을 재건축해 곳곳에 옛 건물의 흔적이 남아있다. 긴 세월 서울의 기상을 관측해온 기록을 읽으며 옛 서울의 계절과 날씨를 상상해보는 배우 김영철. 박물관 한쪽에 전시된 측우기에서 조선시대부터 이어온 서울 기상관측의 역사를 엿볼 수 있다. 박물관을 둘러보다 이른 아침부터 이곳을 찾은 사람을 우연히 만나게 되는데, 알고 보니 1968년에 첫 기술직 공무원 시험으로 뽑힌 1기 기상관측요원이었단다. 서울기상관측소에서 일하던 시절의 이야기를 나누며 직접 풍속과 풍향, 일조량 등을 관측하던 옛 기상관측 탑을 함께 구경해본다. 박물관을 나오자 눈에 띄는 큰 아름드리나무 두 그루. 벚꽃이 개화하면 봄이 왔다는 신호, 단풍잎이 물들면 가을이 깊었음을 알리는 계절 관측목이다. 가을비를 맞아 바닥이 빨갛게 물든 단풍잎을 밟으며 서울 100년의 하늘을 보아온 100년 기상관측소의 기억을 더듬어본다.

▶ 조선 왕실 궁중 떡의 명맥을 이어간다! “가족의 자부심, 궁중 떡”
서울의 오래된 동네, 경복궁 옆 북촌 근처를 걷다가 간판도 없이 장사하는 가게를 발견하게 된다. 안에 들어가 보니 떡집이라는데 가게 어디서도 도무지 떡을 찾아볼 수가 없다. 어찌 된 일인지 영문을 물으니 주로 주문을 받아 떡을 제작해 미리 떡을 만들어 놓지 않는단다. 가게 곳곳에 오래된 밀대와 쌀 됫박이 있는가 하면, 떡을 만드는 할머니와 아버지의 모습이 담긴 옛날 사진이 예사롭지 않다. 알고 보니 조선 왕실의 마지막 궁중음식 기능 보유자였던 한희순 상궁으로부터 궁중 떡 비법을 전수받은 홍간난 할머니가 1949년 떡집을 개업하고, 현 주인장이 그 떡집을 물려받아 1970년대부터 운영해 온 궁중 떡 명가란다. 이제는 아버지와 아들, 어머니가 함께 궁중 떡의 명맥을 이어 떡집을 운영 중이다. 매일 새벽마다 온 가족이 모여 떡을 빚는 주방에서 이곳의 대표 궁중 떡인 쌍개피떡과 두텁떡, 갖은 편을 구경하고 오랜 역사가 이어온 맛을 느껴본다.
20201212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4,043건 68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exr.kr

접속자집계

오늘
651
어제
1,853
최대
33,570
전체
9,506,940
상세보기
group_icon패밀리사이트 더보기
bkts.co.kr부동산 다시보기
dcbooks.co.kr오늘의운세 무료보기
ggemtv.com겜TV
haevich.kr자격증 다시보기
kpopwiz.com케이팝 위즈
manoinfo.com내가게 양도양수
misotv.co.kr짤방로그
parrot.or.kr앵무새 분양센터
mail_icon문의/제안 :
cs@epr.kr

그누보드5
Copyright © misotv.co.kr. All rights reserved.
Mail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