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도 되는데 우리도?…우후죽순 케이블카 애물단지 우려 [9시 뉴스] / KBS 2023.05.09.
Page info
Writer Date23-05-10 00:00 Hit26 Comment0Link
-
https://youtu.be/yUlM33_RmPA 7- Connection
Body
[리포트]
한해 250만 명이 찾는 경북 문경새재 도립공원입니다.
문경시는 주차장에서 주흘산 관봉까지 1.95km 길이의 케이블카를 놓기 위해 설계 용역을 진행 중입니다.
관광 편의와 경기 활성화에 대한 기대와 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가 엇갈립니다.
[이동희/인근 상인 : "평일에도 관광객 유치를 많이 하기 위해서 저는 케이블카가 생기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정수근/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탐방로 외에) 그런 곳에 케이블카가 놓이게 되면 그곳 생태계 또한 교란이 크게 일어나기 때문에..."]
경북에서만 영주 소백산과 포항, 영덕 등 6곳, 전국적으로는 지리산과 대전 보문산 등 20여 곳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 하나의 문제는 수익성입니다.
2020년 개장한 울진 왕피천 케이블카는 코로나19와 산불 등으로 관광객이 줄면서 지난해 민간 운영사가 임차료를 내지 못해 8일간 운영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관광용 케이블카 40여 곳 가운데 통영, 여수 등 일부만 흑자를 낼 뿐, 밀양 영남알프스 얼음골이나 화성 제부도 등 상당수는 만성 적자입니다.
[조광현/대구경실련 사무처장 : "민자 유치를 할 때도 그런 문제가 있을 것이고 특히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할 경우 운영비조차 충당할 수 없는 사례가 너무나 많이 나올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차별성 없이 우후죽순 추진되는 케이블카 사업이 출혈 경쟁을 부르면서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아영입니다.
촬영기자:전민재/영상편집:이병민 \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671518\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케이블카 #수익성논란 #환경파괴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