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를 만나다] 한일 정상회담 후폭풍…박진 장관에게 묻다 [9시 뉴스] / KBS 2023.03.18.
Page info
Writer KBS News Date23-03-18 00:00 Hit19 Comment0Link
-
https://youtu.be/LJRTtyy949Q 12- Connection
Body
앞서 보신 대로 이번 한일 정상회담 내용을 놓고 문제제기도 많고 찬반 논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늘(18일) '뉴스를 만나다'에서 박진 외교부장관을 만나보겠습니다.
어서오십시오.
오랜만에 뵙습니다.
어제(17일) 저녁에 귀국을 하셨죠.
[앵커]
질문드릴 것이 많습니다.
하나하나 해보겠습니다.
일본 언론이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서 이번에 기시다 총리가 회담에서 독도 문제와 위안부 문제 언급을 했었다, 이렇게 보도를 했고요.
거기에 대해서 우리 대통령실과 외교부는 전면 부인하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런데 어제 오전에 대통령실이 처음 해명을 내놓을 때는 독도 부분은 완강히 부인을 했는데 위안부 부분에 대해서는 부인을 하지 않아서 기자들 사이에서는 이게 사실상 시인한 게 아니냐 이렇게 받아들여졌습니다.
어떤 게 맞는 겁니까.
[앵커]
의제로 논의된 바가 없다는 것은 그러면 기시다 총리가 그 부분에 대해서 말을 꺼냈다고 받아들여도 되겠습니까.
[앵커]
기자들이 많이 추측을 할 것 같습니다.
방금 전 말씀하신 그런 내용에 대해서.
그러면 일본이 저렇게 우리와 정반대의 얘기를 하는 것은 어떻게 보십니까.
대내용이라고 보십니까.
[앵커]
제가 그 부분에 대해서 다투려는 건 아니고요.
다만 이제 평가 부분에 대해서는 언론에서 어제와 그제(16일) 그리고 오늘도 어느 정도 보도가 많이 생산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사실 이게 국내에서는 어찌 됐건 기시다 총리가 그런 말을 했는가에 대해서 해명도 조금 불분명하고 대통령실이 말이죠.
[앵커]
그런데 이렇게 과거의 담화를 계승한다고 이번에 기시다 총리가 얘기한 것은 사실은 그렇게 새로운 부분은 아니고 과거에 역대 총리들도 다 그런 태도를 견지해 왔기 때문에.
[앵커]
그런데 그 부분도 반론들이 좀 있기는 합니다.
'화이트리스트'를 다시 복귀시키는 것은 또 안 됐기 때문에.
[앵커]
그 의미를 저희가 전하지 않은 것은 아니고요.
장관님도 잘 아시겠지만 언론 모니터를 외교부도 하셨을 테니까요.
많은 언론들이 그 의미에 대해서도 당연히 짚기는 했습니다.
[앵커]
제가 이렇게 질문드리겠습니다.
의미는 저희가 사실 많이 보도했고요.
그런데 이제 제가 좀 질문을 드리고 답변을 듣는 방식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장관님께서 이달 초에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위한 정부의 방안을 발표할 때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을 기대한다, 그리고 물컵의 반을 우리가 채웠으니까 나머지 절반을 일본에서 채워줬으면 좋겠다.
이렇게 말씀하신 바가 있습니다.
그러면 이번에 나머지 절반이 채워졌다고 보십니까.
[앵커]
그 말씀은 글쎄요.
강제동원과 관련해서 물컵에 반잔을 채워주기를 바란다고 말씀하셨기 때문에.
이번에 일본이 발표한 내용들을 보면 일본 정부의 사과가 있거나 전범 기업의 사과가 있었던 건 아니고 또 해당 전범 기업의 한국 피해자 지원 기금에 참여한다는 소식도 없기 때문에 강제동원과 관련해서는 물컵을 채운 게 아무것도 없지 않느냐 이런 반론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피해 당사자 세 분은 아시다시피 최근 보도를 보면 한국 기업 돈을 받을 필요는 없다고 밝히고 계시고 그래서 추심금 소송도 진행 중이지 않습니까.
그럼 이분들은 외교부 입장에서 어떻게 합니까.
그 기금을 지급할 수 없는 상황인데 이른바 법원 공탁으로 들어갑니까.
어떻게 됩니까.
[앵커]
정부 입장은 알겠는데요.
당사자들은 한국 기업 돈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하기 때문에.
[앵커]
수용을 하겠다는 분들도 있다는 건 저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찌 됐건 당사자 세 분, 아흔이 넘으신 그 세 분은 지금 받지 않겠다라고 입장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앵커]
무슨 말씀인지 알겠습니다.
이런 질문을 좀 드려보겠습니다.
구상권 청구가 없을 거라고 대통령이 못 박으셨는데 물론 차기에 대선 결과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만약입니다만, 민주당 정부가 들어서게 되면은 이건 장담할 수 없는 거 아닙니까.
[앵커]
물론 가정을 전제로 하는 겁니다만...
[앵커]
이 질문을 좀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순서를 지적하는 전문가들도 많습니다.
그러니까 무슨 이야기냐면 피해자들을 설득하고 국민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노력을 먼저 하고.
그 다음에 예를 들면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위한 정부안을 발표한다든가 한일 간의 어떤 회담 결과를 발표한다든가 이렇게 순서가 됐어야 되는데, 그동안에 정부가 좀 속도가 너무 빨랐던 게 아니냐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일단은 정부 입장은 충분히 이해했는데요.
어제 그제 저희가 보도했던 내용하고 맥락이 비슷한 말씀을 하셨기 때문에.
[앵커]
알겠습니다.
제가 오늘 좀 각론적으로 들어가려고 했는데 시간이 다 되어서.
방송 들어오기 전에 국민들한테 '민주주의 정상회의'가 이달 말에 개최한다는 내용을 설명하고 싶으시다고 하셔서.
시간이 거의 다 됐습니다.
짧게 말씀해주실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하실 말씀 충분히 하셨던 것 같습니다.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박진 외교부장관이었습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629662\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박진 #외교부장관 #한일정상회담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