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한일관계, 과거 넘어서야…제로섬 아닌 윈윈 관계”/국무회의서 한일 정상회담 결과·근로시간 개편안 설명/[리얼라이브…
Page info
Writer KBS News Date23-03-20 00:00 Hit14 Comment0Link
-
https://youtu.be/uWkxPrNIqi8 3- Connection
Body
윤 대통령은 오늘(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우리가 현재와 과거를 서로 경쟁시킨다면, 반드시 미래를 놓치게 될 것'이라는 처칠 영국 총리의 발언을 인용하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우선 "그동안 한일관계는 악화 일로를 걸어왔다. 한일관계는 파국 일보 직전에서 방치돼 왔다"며 "치열해지는 미·중 전략 경쟁, 글로벌 공급망의 위기, 북한 핵 위협의 고도화 등 우리를 둘러싼 복합위기 속에서 한일협력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눈앞의 정치적 이익을 위한 편한 길을 선택해 역대 최악의 한일 관계를 방치하는 대통령이 될 수도 있었다"며 "엄중한 국제정세를 뒤로하고, 적대적 민족주의와 반일 감정을 자극해 국내 정치에 활용하려 한다면, 대통령으로서 책무를 저버리는 것으로 생각했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한일 관계는 한 쪽이 더 얻으면 다른 쪽이 그만큼 더 잃는 제로섬 관계가 아니"라며 "함께 노력해 함께 더 많이 얻는 윈-윈 관계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尹 "일본, 수십 차례에 걸쳐 반성과 사과 표한 바 있어"
윤석열 대통령은 "양국 간 불행한 과거의 아픔을 딛고 일본과 새로운 지향점을 도출하고자 한 노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며,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의 한일 국교 정상화 추진과 1998년 '김대중-오부치 선언' 등을 언급했습니다.
일본의 '반성과 사과'에 대해서는 "일본은 이미 수십 차례에 걸쳐 우리에게 과거사 문제에 대해 반성과 사과를 표한 바 있다. 대표적인 것이 '김대중-오부치 선언'과 2010년 '간 나오토 담화'"라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 일본 정부는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비롯해 역사 인식에 관한 역대 정부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혔다"며 "정부는 강제동원 피해자분들과 유족들의 아픔이 치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일본에 대한 '화이트리스트' 복원 법적 절차 착수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한일 정상회담 후속 조치 계획도 설명했습니다.
우선, 외교·경제 당국 간 전략대화를 비롯해 정부 간 협의체들을 복원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 차원의 '한일 경제안보대화'가 곧 출범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경제안보대화가 핵심기술 협력과 공급망 등 주요 이슈에서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을 증진하고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우리 측의 일본에 대한 '화이트리스트' 복원을 위해 필요한 법적 절차에 착수하도록 오늘 산업부 장관에게 지시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한일 관계 개선으로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뛰어난 제조 기술과 일본 기업의 소재, 부품, 장비 경쟁력이 연계돼 안정적인 공급망이 구축될 것"이라며, 경제 분야 성과를 기대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고 일본 국민의 한국 관광이 늘어나면 내수 회복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한일 관계 정상화는 우리 국민에게 새로운 자긍심을 불러 일으킬 것이고 무엇보다 미래세대, 청년세대에게 큰 희망과 기회가 될 것이 분명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KBS 리얼라이브가 전해드립니다.
#윤석열대통령 #국무회의 #대통령실 #한일회담 #한일정상회담 #근로시간개편
▣ KBS뉴스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goo.gl/qCWZjZ
▣ KBS뉴스 유튜브 커뮤니티 : https://goo.gl/6yko39
▣ KBS 뉴스
◇ PC : http://news.kbs.co.kr
◇ 모바일 : http://mn.kbs.co.kr
▣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kbsnews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kbsnews
▣ 트위터: https://twitter.com/kbsnews
▣ 틱톡 : https://tiktok.com/@kbsnewsofficial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