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16 구한말 순국지사 장흥 '정두흠' 애국장 추서 (광주KBS 9시 뉴스)

본문 바로가기

KBS9시뉴스

KBS9시뉴스

20220816 구한말 순국지사 장흥 '정두흠' 애국장 추서 (광주KBS 9시 뉴스)

Page info

Writer 장흥문화원 Date22-08-16 00:00 Hit19 Comment0

Body

영상출처 : https://news.v.daum.net/v/20220813213941746?f=o

[앵커] 국가보훈처가 제77주년 광복절을 맞아 장흥 출신의 운암 정두흠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합니다. 운암 정두흠 선생은 지난 1910년 대한제국이 일제에 강제 병합돼 국권이 상실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목숨을 버리며 고하다"라는 뜻의 '손명사'를 남기고 자결 순국했습니다. 정두흠 선생은 정재건, 장태수 선생과 함께 호남 지역의 3대 순절자 중 한 분입니다.



정두흠(鄭斗欽) : 1832(순조 32)~1910. 조선 말기의 문신 ·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응칠(應七). 호는 운암(雲巖). 장흥 출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정철주(鄭哲周)이며, 어머니는 영광김씨(靈光金氏)로 김희(金희)의 딸이다. 처음 최상관(崔相琯)에게 글을 배웠고, 뒤에 이항로(李恒老)를 사사하였다.

1879년(고종 16)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주서에 임명되었고, 곧 승문원정자가 되었다. 이듬해 성균관전적을 거쳐 사간원정언이 되었다. 1887년 사헌부지평이 되어서는 선정을 베풀 것을 청하고, 죄와 상을 분명히 하여 국가의 기강을 세울 것을 상소하였다.

이듬해 종묘대제(宗廟大祭)에 대축관(大祝官)과 전사관(典祀官)으로 차출되었다. 개항에 반대하여 양이(壤夷)의 노선을 주장하였고, 「만언소(萬言疏)」 등을 올려 정치도의를 바로잡을 것, 매관(賣官)의 폐단을 없앨 것, 직언을 받아들여 언로를 개방할 것 등을 촉구하였다.

뜻이 이루어지지 않자 용퇴를 결의하고 향리로 돌아왔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자 극약을 먹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저서로는 『운암집(雲巖集)』 4권이 있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12,960건 153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exr.kr

접속자집계

오늘
571
어제
1,239
최대
33,570
전체
9,508,099
상세보기
group_icon패밀리사이트 더보기
bkts.co.kr부동산 다시보기
dcbooks.co.kr오늘의운세 무료보기
ggemtv.com겜TV
haevich.kr자격증 다시보기
kpopwiz.com케이팝 위즈
manoinfo.com내가게 양도양수
misotv.co.kr짤방로그
parrot.or.kr앵무새 분양센터
mail_icon문의/제안 :
cs@epr.kr

그누보드5
Copyright © misotv.co.kr. All rights reserved.
Mail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