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아버지와 치악산’ 오탁번 작가 “세 살 때 여읜 아버지, 상상 속에서 그려” / KBS
Page info
Writer KBS News Date21-11-14 00:00 Hit10 Comment0Link
-
https://youtu.be/DY52M79Gt54 2- Connection
Body
Q. 어떻게 이 소설을 쓰게 됐나?
이라는 소설은 그러니까 제 상상 속에서 완전히 그야말로 창조한 겁니다. 있는 데 근거한 것이 아니고. 다만 저는 여기가 이제 백운면이 고향인데 여기엔 천등산이 있어요. '울고 넘는 박달재'에 나오는 천등산이 바로 저기에 있고, 여기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중고등학교를 강원도 원주에서 다녔습니다, 6년을. 그때의 원주 치악산이 있잖아요. 그러니까 제 삶에는 산이 두 개가 있는데 천등산과 치악산입니다. 그러니까 그때 그 치악산은 어릴 때 원주중학교 다니고 그럴때 보면 산이 엄청 크고 무섭고 너무 크니까 가끔 소풍을 이제 그리 갈 때가 있었는데, 산이 내가 백운면 고향에서 오르락내리던 산보다 크고 그야말로 국립공원이 나중에 됐으니까요. 산의, 큰 산의 장엄함 같은 거를 기가 죽었다 그랬나 뭐 이런 게 있을까. 그러니까 제 소설적인 상상력 속에는 치악산이, 치악산이 큰 산의 얼굴처럼 늘 마음속에 있었을 겁니다.
Q. 세 살 때 아버지를 여의셨는데?
누구나 자기 아버지에 대한, 아버지가 없어도 아버지가 있었으면 또 아버지가 없이 이 청소년기를 보내, 소년기를 보내면서 그 어떤 가난이랄까 또 사회를 살아가면서 그 어려운 점 그런 거 이제 한이 맺히는 게 있잖아요. 그렇게 상상 속에서 어떤 아버지상이 있어야 되겠다 이런 거를 아마 대입을 시켜나가지 않았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
Q. 주인공이 아버지에게 바란 것은?
내 아버지가 되길 바란 겁니다. 그러니까 아들은 또 어느 세대나 아버지는 내 아들로 사랑했는데, 말은 안 해도 사랑을 하는데, 그러면 사랑을 안 하는 걸로 오해를 해요. 오해가 아니고 사랑을 안 하는 걸로 이해를 합니다. 그러니까 이제 세대가 바뀌었으니까 아들이니까 아버지가 내 아들 자랑스럽다, 니가 최고다 이런 말을 해주기를 바라는 거죠. 그거는 어느 아들이고 그 아버지한테 다 그렇게 생각을 하는 겁니다, 아마도. 그런데 저는 없는 아버지, 아버지가 부재니까 정신 사적으로만 어머니를 통해서 들은 얘기, 집안에 또 전해오는 얘기만 들었지 실제로 아버지를 본 적이 없고 봤지만 기억을 못하니까. 그러니까 아마 없는 아버지에 대한 사랑을 갈구하는 이게 저였다면, 작중 인물인 산림계장인가 누구도 아버지가 있는데도 없는 아버지 같으니까 존재하는 아버지를 계속 원하지 않았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
Q. 42년 전 소설을 다시 읽는 기분은?
그때 그 상황이 아주 자세히 다 생각나는 건 아니지만, 내가 그때 그 나이에 이런 소설을 쓰느라고 굉장히 아주 밤샘을 하고 코피 흘러가면서 고생을 했구나. 근데 어떻게 이런 소설을 써 냈을까. 그러니까 그런 소설, 이런 이야기 재료는 어느 분들 어느 작가도 다 그렇겠지만, 우리 문학사는 물론이고 세계문학사에 딱 하나 있는 거 아닙니까? 그런 소설, 그런 얘기, 그런 공간을 만든 게. 그런데 그때 한창 70년대는 그때 이제 학생들은 데모도 많이 하고 또 강의하고, 이런 어떤 아주 복잡할 때입니다. 그런데도 그 어떤 자기가 느끼는 이 세상\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324668\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오탁번작가 #아버지와치악산 #한국문학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