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 만에 꽉 찬 생활치료센터…추가 확보 ‘난항’ / KBS 2021.08.06.
Page info
Writer KBS News Date21-08-05 00:00 Hit10 Comment0Link
-
https://youtu.be/PA5txANzrIs 2- Connection
Body
확산세가 꺾이지 않으면 가장 시급한 문제가 치료와 격리시설 확보일 텐데요.
수도권의 경우에는 생활치료센터 등에 빈 자리가 많이 있지만, 대전 등에서는 생활치료센터는 물론 위중증 병상도 포화상태라고 합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26일 문을 연 대전시 제2 생활치료센터입니다.
코로나19 경증환자 116명을 수용할 수 있는데 문을 연 다음 날 90%가 찼습니다.
지난 4월, 문을 연 160병상 규모의 제1 생활치료센터는 이달 말 문을 닫습니다.
주민 반대가 거세 애초, 4개월만 쓰기로 약속하고 문을 열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대전지역 확진자는 하루 평균 70여 명, 일주일에 3~4백 명씩 쏟아지는데 당장 다음 달부터는 제2 생활치료센터 백여 개 병상으로 버텨야 할 처집니다.
특히 대전은 위중증 환자를 위한 감염병 전담 병상 125개도 포화상태입니다.
이렇다 보니 확진 판정을 받고도 병상이 없어 집에 대기하는 확진자가 매일 70~80명에 달합니다.
[김기호/대전시 감염병관리과장 : "현재 자택에서 대기하시는 분도 계시고 병상이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우리 시 같은 경우는 생활치료센터가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속한 확보가 시급한 상황입니다."]
최근 비수도권에서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대전 뿐 아니라 광주와 제주 등도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이 80%를 넘어서며 병상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다만, 생활치료센터 44곳을 확보한 수도권은 가동률 57%로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지만, 4차 유행이 좀처럼 꺾이지 않아 마음을 놓을 순 없는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250061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