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5일의 기다림…평범한 사람들이 법을 바꾸기까지 / KBS뉴스(News)
Page info
Writer KBS News Date20-05-19 00:00 Hit18 Comment0Link
-
https://youtu.be/W2hYBiLgilU 2- Connection
Body
과거사법이 우여곡절 끝에 국회 상임위를 통과하고 내일(20일) 본회의에서 처리될 예정인데, 형제복지원 사건 피해자들을 KBS가 만나 소회를 들어봤습니다.
유호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랑인을 선도한다며 1975년 설립된 부산 형제복지원.
12년 뒤 드러난 실상은 인권 유린 범죄의 현장이었습니다.
[KBS 뉴스9/1987년 1월 : "부랑아를 모아 감금시켜놓고, 강제노역을 시킨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형제복지원에 끌려갔을 때 최승우 씨는 14살, 한종선 씨는 겨우 9살이었습니다.
[최승우/형제복지원 피해자 : "경찰이 저를 끌고 들어가서 머리를 때려가면서 가방 검사를 했고. 훔치지도 않은 빵을 누명을 씌워서..."]
[한종선/형제복지원 피해자 : "아동들을 상대로 동성 간 성폭행이 이루어졌고요. 때리다가 사람이 맞아서 죽어 나가는 경우…."]
확인된 사망자만 513명, 잊혀져 가던 사건은 2012년 한종선 씨의 1인 시위로 재조명되기 시작했지만 국회는 묵묵부답이었습니다.
2017년 11월, 국회 앞 1평 천막에서 노숙 농성이 시작됐습니다.
[최승우/형제복지원 피해자 : "처음에는 기약이 없었어요. 언젠가는 끝나겠지라는 기대감, 희망이라는 거를 보고 시작을 했던 것 같아요."]
검찰총장이 사과하기도 했지만 국회는 더디게 움직였습니다.
진상규명을 담은 과거사 법안이 지난해 10월 어렵게 행안위를 통과했지만 이번에는 법사위 문턱에 걸렸습니다.
[최승우/형제복지원 피해자 : "읍소를 해서 간신히 통과되었는데. 절망 빠진 거죠. 큰일 났다. 너무너무 힘들다. 이게 과연 통과되겠나? 진짜 괴로웠죠."]
법안에 반대하는 정치인에게 무릎까지 꿇었습니다.
[한종선/형제복지원 피해자 : "한 번만 살려주시면 안 되겠습니까? 과거사법 19대에서도 폐기됐었고 20대에서도 또 폐기되지 않습니까?"]
최승우 씨는 국회 지붕에 올라가야 했고,
[최승우/형제복지원 피해자 : "배우지 못하다 보니까 몸으로 때울 수밖에 없잖아요."]
국가의 보상과 배상을 뺀 것이 아쉽지만 내일(20일) 법안이 통과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최승우/형제복지원 피해자 : "일반인인 그리고 아무것도 모르는 국가폭력 피해생존자가 이렇게 법안을 만들었다는데 할 수 있다. 투지 속에 승리가 있다라는 거를 보여주게 된 계기라고 생각합니다."]
평범한 시민들을 끌고 가 잔혹하게 학대하고 죽인 진상을 밝혀 달라는 당연한 요구. 받아들여지기까지 8년이 걸렸습니다.
KBS 뉴스 유호윤입니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