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즈업 북한] 사활 건 산림 복구…회복 속도는? / KBS뉴스(News)
Page info
Writer KBS News Date20-03-06 00:00 Hit19 Comment0Link
-
https://youtu.be/_7kp9Pjfw48 1- Connection
Body
하지만 벌써 3월 중순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는 북한도 식수절을 맞아 나무 심기를 독려하고 그동안의 성과를 대대적으로 선전했는데요.
김정은 위원장이 산림복구 전투를 선포한 지 5년이 지난 지금, 북한의 산림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클로즈업 북한에서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조선중앙TV/3월2일 : "식수절을 맞으며 각지 일꾼들과 근로자들, 인민군 장병들이 봄철 나무심기를 진행하였습니다."]
일제히 마스크를 착용한 북한 주민들이 부지런히 묘목을 나르고, 구덩이를 파 옮겨 심는다.
야외에서의 단체 모임도 엄격히 금지해가며 코로나19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던 북한당국이 식수절 행사엔 주민들을 동원한 것이다.
금수산 태양궁전 지구를 비롯한 평양의 주요 구역은 물론, 각 지방에서도 실시된 봄철 나무심기운동. 남포시의 경우 자그마치 십여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고 보도했다.
이어 식수절 특집 프로그램까지 제작, 편성한 북한 매체는 간부들의 현장 참여까지 독려했다.
[조선중앙TV 특집프로그램 ‘조국의 산들에 푸른 숲이 우거지게 하자’ : "일꾼들은 사무실에 맴돌면서 통계숫자나 장악할 것이 아니라 들끓는 전투현장에 나가 근로자들과 함께 나무 구덩이도 파고, 나무모도 떠 옮기면서 이신작칙으로 대중을 이끌어야 합니다."]
사활을 걸었다 할 만큼 전투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북한의 봄철 나무심기, 그렇다면 북한의 산림 실태는 어떨까.
1990년대, 최악의 위기 상황으로 치달은 북한 경제.
북한에선 식량난과 에너지난을 해소하기 위해 대규모 벌목과 산지개간이 이루어졌다.
산림 황폐화의 시발점이 된 것이다.
2000년대부터는 북한당국도 산림 훼손의 심각성을 깨닫고, 본격적인 복구사업에 나섰지만 민둥산의 오명을 쉽게 벗어 던지지는 못했다.
파괴된 산림으로 인한 피해 상황도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우균/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교수/오정에코리질리언스 연구원장 : "산림이 황폐화된다는 것은 그런 산림으로부터 나오는 다양한 긍정적 기능과 서비스가 훼손되는 거죠. 북한에 예를 들면 목재는 당연히 공급이 어려운 거고 그리고 최근에 여러 가지 자료를 보면 물 공급의 악화로 농업용수도 부족하고 물론 생활용수도 부족하지만 농업용수 부족은 농업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는 거예요. 그러다 보니까 산림을 농지로 개간해서 농업 농지 면적은 늘어나는데 오히려 농업생산성 저하로 식량 생산은 오히려 더 악화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거죠."]
북한의 산림복구는 김정은 위원장의 집권과 함께 보다 강력한 국가사업으로 추진됐다.
2012년, ‘산림복원 10개년 계획’을 수립했고 2015년엔 김정은 위원장 담화를 통해 산림파괴에 대한 엄단의 의지도 드러냈다.
자신은 물론, 부인까지 식수 행사에 대동할 만큼 위원장 스스로도 산림 복구사업의 최전선에 서겠다고 강조했다.
[북한기록영화 ‘인민을 위한 영도의 나날에4’ : "나라의 산림문제를 놓고 더 이상 물러설 길이 없습니다. 우리 후대들에게 벌거숭이 산 흙산을 넘겨주어서는 절대로 안됩니다. 전후복구 건설을 한 것처럼 산림복구 전투를 벌입시다. 산림복구 전투는 내가 사령관이 되어 직접 지휘하겠습니다."]
이후 북한은 매년 수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산불예방, 해충구제, 목재 소비를 줄이기 위한 대체물 개발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에 따른 성과가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는 평가다.
2019년 국립 산림과학원의 발표에 의하면 최근 10년간 북한의 산림 황폐지 면적이 22만 헥타르 가량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오랜 기간 북한과 산림사업을 진행 중인 김남수 대표 역시 북한산림의 변화를 체감 할 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
[김남수/그린코리아네트워크 대표 : "상당히 큰 변화들이 있어요. 그것은 눈에 보이게 산림들이 좋아지고 있는 것을 현장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제가 1년에 최소한 적게는 7차례에서 많게는 한 9차례까지 그렇게 늘 10년 이상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