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흑연은 일부에 불과”…반복되는 ‘중국 리스크’ [9시 뉴스] / KBS 2023.12.12.
Page info
Writer Date23-12-15 00:00 Hit24 Comment0Link
-
https://youtu.be/6PTJB6Z9Puk 3- Connection
Body
[리포트]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불량을 걸러내는 검사장비, 한 중소기업이 11년 전 처음 국산화에 성공했습니다.
이 장비는 부품 수천 개로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부품 하나의 소재 수급 차질만 생겨도 전체 장비의 제작이 어려워집니다.
장비의 냉각 부품에는 중국산 부자재가 들어가는데, 코로나19가 한창이던 3년 전 갑자기 공급이 끊겨 생산량이 3분의 1 아래까지 뚝 떨어졌습니다.
[최병열/반도체 검사 장비 업체 팀장 : "반도체 소자나 다 내장돼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은 다 중국에서 생산을 하거든요. 갑자기 대체가 어려울 수밖에 없는 게요. 저희가 (부품을) 6개월, 1년을 테스트를 다 합니다."]
이처럼 우리 산업, 특히 소재 분야에서 중국산 원료에 대한 의존도는 절대적입니다.
냉장고 등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가전제품도 중국산 원료 없이는 생산이 어렵습니다.
국가가 관리하는 희소 금속 37가지 가운데 중국 의존도가 1위인 금속이 12가지나 되고, 수입의존도가 높아 공급망이 취약한 수입 품목의 63%가 중국산입니다.
갑자기 공급이 막힐 때 적절한 대책이 없으면 생산을 멈출 수밖에 없습니다.
[중소기업 대표/음성변조 : "통보도 없이 그냥 결별을 해버리니까 언젠가는 중국이 (공급을) 차단을 할 때 어떻게 할 것이냐…"]
그런데 정부 차원의 대응은 아직까지 부족하다는 지적입니다.
핵심 자원의 공급선 다변화를 지원하는 '공급망 기본법'은 지난주에야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최재영/기획재정부 공급망기획단 부단장/지난 6일 : "현재로서는 기금을 통한 지원을 내년 하반기부터 하게 될 것 같고…"]
희소 금속과 광물을 효율적으로, 많이 비축하자며 추진해 온 비축기지는 내년에야 첫 삽을 뜰 예정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희소 금속의 비축량은 50여 일, 미국은 최대 3년까지 가능합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박미주\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840092\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r
\r
#공급망 #중국의존도 #핵심원료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