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내 신고 안 한 SKT…해명 들어봤더니 / SBS 8뉴스
Page info
Writer Date25-04-27 00:00 Hit58 Comment0Link
-
https://youtu.be/WW0tfXJl9fI 15- Connection
Body
고객 유심 정보를 해킹당한 SK텔레콤이 해킹 징후를 포착하고도 24시간 안에 신고해야 한다는 의무를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SK텔레콤은 발생 원인을 파악하다가 늦어진 것일 뿐 일부러 그런 건 아니라 해명했습니다.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SK텔레콤이 의도치 않게 사내 시스템 데이터가 움직였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한 건 지난 18일 오후 6시 9분입니다.
이어 밤 11시 20분 악성코드를 발견하고 일부 파일이 삭제된 흔적을 확인했습니다.
해킹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을 내부적으로 확인한 겁니다.
다음 날인 19일 새벽 1시 40분, 어떤 데이터가 빠져나갔는지 분석을 시작했고, 밤 11시 40분에 해커에 의한 악성 코드로 이용자 유심과 관련한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확인했습니다.
SK텔레콤이 이 사실을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한 건 그다음 날인 20일 오후 4시 46분인데, 최초인지 시점보다 46시간, 해킹 공격으로 판단한 시점보다도 41시간 이상 지난 뒤입니다.
관련 법에는 사이버 침해사고를 인지한 뒤 24시간 안에 신고하도록 돼 있습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동일한 악성 코드가 다른 통신사나 다른 기관에 전파될 수도 있기 때문에 유사 기관의 피해가 확산 되지 말라는 차원에서 24시간 이내에 신고하라고 하는 거예요.]
신고 의무 위반만으로도 3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 수 있는데, SK텔레콤 측은 고의적인 신고 지연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SK텔레콤 관계자 :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하여 침해 사고 신고에 필요한 최소한의 발생 원인과 피해 내용을 좀 더 철저하게 파악하는 과정에서 신고가 늦어진….]
SK텔레콤은 해커가 관리 서버를 통해 나간 건 확인했지만, 아직 어떻게 침입했는지는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킹 정황을 인지한 지 일주일이 다 되도록 어떤 종류의 정보가 얼마나 유출됐는지 확인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금융사기나 복제폰 제작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유심 보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우기정)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8076570
#SBS뉴스 #8뉴스 #SK텔레콤 #통신사 #해킹 #유심 #정보유출 #개인정보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X(구: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