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아보기] "거래량 회복은 과대포장".. 매매가와 전셋값, 계속 추락한다.. 은행 파산은 도미노로 번질까? / 우병탁, 김효선, 김찬영, 김석환 @sbs_economy

본문 바로가기

SBS8시뉴스

SBS8시뉴스

[몰아보기] "거래량 회복은 과대포장".. 매매가와 전셋값, 계속 추락한다.. 은행 파산은…

Page info

Writer SBS 뉴스 Date23-03-24 00:00 Hit21 Comment0

Body

[주간 경제자유살롱]
00:00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
36:26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
1:19:51 김찬영 한국투자신탁운용 디지털마케팅ETF본부장
2:18:25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위원

■ 주요내용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
우병탁 팀장은 부동산 시장을 전망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지표는 거래량, 경매, 전월세를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거래량이 잠깐 늘었지만, 3월 들어 다시 감소하고 있고, 절대량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합니다.
또 전세가는 하락하고 있지만 월세는 올라가는 상황에서 일정 지점이 되면 월세 수요가 전세로 유입되며 전세가는 오를 수 있고 매매가 역시 움직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내 집 마련의 시기는 언제쯤이 좋을까요?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의 분석을 SBS 경제자유살롱에서 만나보세요.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
김효선 위원은 부동산 시장에 가장 큰 문제였던 거래량 절벽 현상은 올해 정책효과를 통해 약간 살아나며 심폐소생을 했다고 말한다. 현재 시장의 가장 큰 문제는 전셋값 하락이라며, 올해 입주물량이 많아서 하락폭을 더 키울 수 있고 이는 곧 매매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일부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이 높게 나타난 것을 보고 부동산 시장의 냉각기가 끝났다고 보기에는 시기상조라며, 이를 보고 집값이 반등할 거라고 전망할 순 없다고 한다. 집값에 영향을 미칠 변수는 금리와 정부 정책으로, 금리가 어떤 속도로 인하되는지 또 정부 정책이 어느 정도 더 뒷받침해주는지를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김 위원은 일부는 이미 바닥을 찍은 것으로 보이는 지역이 나타나고 있다며, 아직 내집 마련을 서두를 필요는 없지만 봐둔 지역의 원하는 아파트가 있다면 시기를 너무 재지 말고 급매물 위주로 살펴볼 것을 조언했다.

[김찬영 한국투자신탁운용 본부장]
*ETF의 투자, 얼마나 하고 있나?
ETF가 생겨난 지가 올해로 30년이다.
전 세계 ETF에 투자돼 있는 자금은 2021년말 10조달러, 1경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역시 현재 90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ETF 에 투자되어 있고,
일평균 주식 거래대금의 30-40%가 ETF인 만큼, 이미 대중화 되어 있다.

*ETF, '언젠가는 하게 될 투자'
ETF 를 전기차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지금은 안 타더라도 언젠가 결국 타게 될 것. ETF는 '금융의 전기차'라고 볼 수 있다.

*거래량의 진실
ETF 거래량이 적으면, 팔고 나가지 못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꼭 그렇지 않다. 거래량은 프로모션으로 인위적으로 이끌어내기도 한다.
거래량이 많다고 꼭 좋은 것도 아니고, 거래량이 없어도 적정한 가치 근처에서 팔 수 있다. 순자산가치 근처에서 지정가를 정해놓은 뒤 매도 주문을 내고 기다리면 거래가 가능하다.

*올해 주목할 ETF 상품
'반도체'에 집중해보자.
현재 반도체 시장은, 가장 어두운 순간을 통과하고 있어.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생산을 늘릴 계획이고,
지능형 반도체칩이 쓰이는 챗GPT 개발도 한창이다.
연말 즈음 과실이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그 외, '레버리지'와 '인버스', '해외 ETF 투자법' 등등 알아보자!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위원]
* 3월 FOMC에서 연준은 '물가안정을 위해 해야할 일이 있다'고 강조.
이번에 금리를 25bp올렸는데, 올해의 마지막 금리인상으로 보고 있음.
연준에서 금리인하는 없다고 했지만,
시장은, 올해 25bp씩 세 번은 내릴 가능성 있다고 보고 있어.

* 미국과 한국 기준금리차 역대 최고차. 1.5%p
외국인 자본유입이 채권시장으로 들어오고 있어.
순 외국인 자금이 유입 유출로 봤을 때 유출이 크다고 보지 않아.

* 코코본드 'AT1'은, '신종자본증권'이다.
금융화사, 보험회사가 주로 발행함.
위기의 순간에 자본으로 처리돼서 변제순위가 뒤로 밀린다.
그런데 이번에 이를 전부 상각하면서 CS의 AT1은 휴지조각이 됨.

* 이번 은행 파산 사태로
경기 후퇴, '리세션' 시기가 빨라질 수 있다고 보고 있어.

* CS 쇼크 이후 '위험한 은행'으로, 도이치뱅크가 꼽히기도.
여기서 균열이 멈출지, 다른 곳에 금이 갈지 앞으로 더 지켜봐야 한다.

* 미국 중소은행들이 무너지면서 '상업용 부동산'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미국 건설사들이 건물을 올릴 때, 중소형 은행 대출 비중이 큰데,
중소형 은행들의 위기가 가속화 되면, 부동산 시장의 위기가 올 수 있어.
그래서 미국 정부가 초기진화 하려고 노력하는 것.

* 중소형 은행들이 연쇄적으로 무너지면
도미노 현상으로 미국 가계와 기업들까지 문제가 될 수 있어.

* 현재 시점에서, 미국 주식 투자자들은 공격적인 투자는 지양하길.

*중장기 국채보다 단기 국채를 추천한다.
안전자산 '금' 그리고 '달러' 비중을 높이는 것도 좋겠다.

■ 제작진
총괄 : 손승욱 / PM : David / 라이브 PD : 유규연 / 작가 : 정지윤, 지선영 / 영상취재 : 이재영, 김현상, 서진호, 이승환, 김태훈, 양현철 / 디자인 : 임지윤 / 오디오: 하지윤 / 인턴 : 안지원

■ 본 콘텐츠에 포함되는 투자 정보는 참고 만을 위해서 전해드립니다.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SBS 경제자유살롱 커뮤니티 [경자클럽] 오픈★
함께하기 ▶ https://premium.sbs.co.kr/board/63ec4d2a7920627d8e24a8ee

#SBS #경제자유살롱 #우병탁 #김효선 #김찬영 #김석환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13,192건 220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exr.kr

접속자집계

오늘
396
어제
1,239
최대
33,570
전체
9,507,924
상세보기
group_icon패밀리사이트 더보기
bkts.co.kr부동산 다시보기
dcbooks.co.kr오늘의운세 무료보기
ggemtv.com겜TV
haevich.kr자격증 다시보기
kpopwiz.com케이팝 위즈
manoinfo.com내가게 양도양수
misotv.co.kr짤방로그
parrot.or.kr앵무새 분양센터
mail_icon문의/제안 :
cs@epr.kr

그누보드5
Copyright © misotv.co.kr. All rights reserved.
Mail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