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으면 죽어" "엉망이네"…법도 못 지킨 콜센터 직원…
Page info
Writer SBS 뉴스 Date23-03-03 00:00 Hit19 Comment0Link
-
https://youtu.be/vlhRDr2Dc7k 2- Connection
Body
실적 압박 못지않게 콜센터 노동자들을 힘들게 하는 건 고객들의 폭언입니다. 지난 2018년 산업안전보호법 개정안, 일명 감정노동자보호법이 시행됐지만 정작 노동자들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정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콜센터 대응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막말을 하고,
[콜센터 노동자-고객 (카드사 콜센터) : 당신 VIP 담당 맞아? 맞냐고? (고객님 반말은 자제 부탁드리고요.) 아 니가 VIP 담당 맞냐고. 당신 말 버벅거리지말고 다른 사람 전화하라고 해. 당신 일하는 꼬라지가 영 엉망이야.]
다짜고짜 욕설을 쏟아붓기도 합니다.
[콜센터 노동자-고객 (공공기관 콜센터) : 이 XXX, 가만히 있어. XX야 전화 끊으면 죽는다. 너 (계속 욕을 하시면 저도 통화하기 어렵습니다.) 그럼 욕을 안 하게 만들어.]
모두 '감정노동자 보호법'이 시행된 지 4년이 넘은, 지난해 통화들입니다.
콜센터 노동자들은 '다음 소희' 영화 속 악성 고객들이 현실에서도 적지 않다고 말합니다.
[20년 차 콜센터 노동자 : 충격적인 말을 듣고 나면 쉰다고 해결되는 게 사실 아니더라고요. 잠도 못 자고 정신과 치료도 받고 현재 약을 복용을 하고 있는 중이거든요.]
보호법 시행으로 악성 고객의 경우엔 콜센터가 통화 중 먼저 차단하고, 고객에게 시달린 직원에게 휴식 시간을 주기도 하는데, 아직 미흡합니다.
심리 상담 요청은 많은데 몇 개월씩 기다려야 할 정도입니다.
[12년 차 콜센터 노동자 : 심리 상담사가 있어서 신청을 해서 한 시간씩 마음 안정을 컨트롤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대신에 한 번 신청하면 한 반년을 기다려야 됩니다.]
노동자들에 대한 심리 상담 프로그램을 늘리고, 하청 콜센터뿐 아니라 실적 압박에 일정 책임이 있는 원청 업체들도 피해 지원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최혜란, VJ : 박현우)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101436
#SBS뉴스 #콜센터 #직원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