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암석 처리..유령업체와 짬짜미(?)[목포MBC 뉴스데스크]
Page info
Writer 목포MBC뉴스 Date21-07-22 00:00 Hit5 Comment0Link
-
https://youtu.be/Z1-Keu7AoGw 0- Connection
Body
이 공사현장의 이상한 점은 또 있습니다.
공사 과정에서 나온 암석을 버리는 것으로
계획을 잡아두고, 실제로는 많은 양을
등록도 되지 않은 업체에 공짜로 준 뒤,
이 업체에서 다시 돈을 주고 골재를
사온 겁니다.
김안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지난 2014년 첫 삽을 뜬 증도-지도간
지방도 805호선 공사.
3.3 킬로미터 길이로 3개의 야산을
통과합니다.
S/U]도로를 내기 위해 인근의 야산을 깍아내고, 발파하는 과정에서 10만톤 이상의 암석이
나옵니다.
야산에서 나온 암석을 대부분
사토, 즉 버리는 것으로 설계됐습니다.
암석을 잘개 부수는 고가 장비인 '크러셔'를
투입하는 것보다 그냥 골재를 사서 쓰는게
더 싸다는 이유였습니다.
◀INT▶ 전라남도 관계자
"저희도 이제 경제성을 다 따져서 하는 거거든
요. 크러셔(암석 파쇄기기)를 갖고 왔을 때 비
용이라든지 현장 유용했을 때 암소할라든지 이런거를 당시 설계 용역사가 다 고려를 했을 거에요."
그렇다면 공사현장에서 나온 암석들은 어디로
갔을까?
C/G]암석 반출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가장 많은 만 3천 톤 이상이 지역 레미콘
업체로 간 것으로 나옵니다.
취재 결과 이 레미톤 업체는 등록조차 되지
않았습니다.
◀SYN▶ 무안군 관계자
"예. (00레미콘 이름의) 이런 곳은 없어요."
더 황당한 건 시공업체가
이 레미콘 회사로부터 공사 현장에 사용할
골재를 사들였습니다.
공사 현장에서 나온 암석 반출처를 선별해
유령업체에 공짜로 주고
이 암석을 가져간 유령업체에게 1억 원이 넘는 돈을 주고 골재를 사온 겁니다.
◀SYN▶ 마을 주민
"내가 조금 필요해서 많은 양도 필요없고 조금 줄 수 없냐고 했더니 한톨도 줄 수 없다라고.."
◀SYN▶ 외부 감리업체 관계자
"현장 자체에서 어떤 여건이 발생했는지는 모르지만 골제장으로 (암석이) 갔다가 다시 온다는 게 제가 판단할 때는 조금 불합리한 것 같고."
반출하고 남은 암석들의 방치 장소도 문제입니다.
적치장 승인도 받지 않은 농경지를 빌려
아무렇게나 버려두고 있습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시공업체나 전라남도는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INT▶전라남도 관계자
"결국에는 저희가 다 감사를 받거든요. 이 내용에 대해서. 저희가 시공사 편익을 위해서 돈을 더 받아줬거나, 공사비를 증액시키거나 그런 내용은 없습니다."
전라남도는 뒤늦게 이 공사현장에서 추가로
나오는 암석을 신안군의 다른 공사 현장에
보내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김안수입니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