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내인생의 오일팔9 - 박천만의 오일팔

본문 바로가기

MBC뉴스데스크

MBC뉴스데스크

[뉴스데스크내인생의 오일팔9 - 박천만의 오일팔

Page info

Writer 광주MBC뉴스 Date20-05-08 00:00 Hit17 Comment0

Body

(앵커)

5.18 광주민주화운동 40주기
특별연중기획// 내인생의 오일팔,

오늘은 1980년 5월 27일 새벽,//
광주와 민주주의를 사수하기 위해
전남도청에 끝까지 남았다 계엄군에게 체포된
시민군// 박천만 씨의 오월을 들어봅니다.

김철원 기자입니다.

(기자)

계엄군이 폭도 소탕작전을 개시한
1980년 5월 27일 새벽 4시.

20살 시민군 박천만씨는
전남도청 민원실 2층 바닥,
윤상원 열사가 계엄군의 총탄에 맞아 숨진
바로 그 옆자리에 엎드려 있었습니다.

계엄군을 향한 총의 방아쇠를
끝내 당기지 않았습니다.

(인터뷰)박천만씨/5.18 시민군
"쏘기만 하면 분명히 계엄군을 맞힐 수 있었어요. 그런데 안 쐈어요. 만약 그 때 쐈으면 저는 트라우마 때문에 이후 온전히 살지 못했을 겁니다. 그래서 나는 죽기로 한 사람이니 그냥 죽자 그런 마음으로 쏘지 않았어요."

전남대 부근에서
아무 죄 없는 시민들에게
계엄군이 총을 난사하는 장면을
목도한 다음부터
시민군으로서 총을 들게 됐다는 박천만씨.

계엄군이 곧 들이닥칠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5월 27일 새벽,
전남도청에 남았습니다.

그 때 임신한 아내가 생각났지만
자리를 지켰습니다.

(인터뷰)박천만씨(60세)/5.18 시민군
"내일 계엄군들이 오면 죽을 수도 있다. 살고 싶으면 가시라 누군가 말하더라고요. 그 때 애기 엄마가 생각났어요. 임신해서 배가 이렇게 불러 있었거든요. 생각이 나더라고요. 하지만 어차피 죽기로 각오했기 때문에 계엄군들하고 싸우겠다 하고 도청에 남은 것이죠."

계엄군에게 구타를 당해
고막이 터지는 등 몸에 상처를 입었지만
그것보다 더한 마음의 상처 때문에
한많은 40년 세월을 살아야 했습니다.

(인터뷰)박천만씨/5.18 시민군
"생계를 어떻게든지 해결해나가려고 하는데 그것이 마음대로 안돼요. 왜냐하면 사람이 두려운 거예요. 사람을 보더라도 피하게 되고 어떻게 할 수가 없어요. 자살도 생각했어요."

5.18이.. 광주가..한국 민주주의의 등대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데는 그날 새벽 자신이 전남도청에 남았기 때문이라는 자부심이 이제야 생겼지만

아직도 5.18을 왜곡하고 폄훼하는
사람들을 보면 답답합니다.

그럴 땐, 그 날 계엄군에게 생포됐을 때
도청 민원실 2층에서 1층으로 타고 내려온
가문비 나무를 찾아가 대화를 나눕니다.

(인터뷰)박천만씨(60세) 80년 5월 27일 계엄군에게 체포
"나무야 반갑다. 나무 너는 그때 일을 너는 잘 알고 있지? 나의 증인이고, 목격자고. 이 나무는 정말 많은 것을 알고 있죠."

5.18 40주년.. 박천만씨는 광주시민들에게 그 공을 돌립니다.

(인터뷰)박천만씨/5.18 시민군
(기자):"우리나라 민주화가 이만큼 될 수 있었던 데는 그 날 선생님께서 여기에서 총을 들고 광주를 지켜주셨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를 말하기 전에, 우리 광주시민들이 한마음 하나가 됐기 때문에 광주가 이렇게 있지 않나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우리 광주 시민들에게 진짜 큰 박수를 보내야 한다고 저는 생각을 해요."

MBC뉴스 김철원입니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13,448건 272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exr.kr

접속자집계

오늘
1,218
어제
1,853
최대
33,570
전체
9,507,507
상세보기
group_icon패밀리사이트 더보기
bkts.co.kr부동산 다시보기
dcbooks.co.kr오늘의운세 무료보기
ggemtv.com겜TV
haevich.kr자격증 다시보기
kpopwiz.com케이팝 위즈
manoinfo.com내가게 양도양수
misotv.co.kr짤방로그
parrot.or.kr앵무새 분양센터
mail_icon문의/제안 :
cs@epr.kr

그누보드5
Copyright © misotv.co.kr. All rights reserved.
Mail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