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24] 타이완 지진 엿새째...우리나라는 지진 안전지대일까? / YTN
Page info
Writer Date24-04-08 00:00 Hit42 Comment0Link
-
https://youtu.be/gc8XRCPxY7w 17- Connection
Body
■ 출연 : 김광희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타이완 강진이 발생한 지 오늘로 엿새째입니다.사망자는 13명, 연락이 끊긴 실종자는 6명입니다. 수색 작업이 한창인데요. 주말 사이 상황과 이번 강진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겠습니다.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김광희 교수 연결돼 있습니다. 교수님, 나와계시죠?
[김광희]
안녕하세요. 부산대학교 김광희입니다.
[앵커]
타이완 지진, 골든타임이 지났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 현재 구조상황 어떻게 보고 계시나요?
[김광희]
조금 전에 보도에서도 이미 보여주신 바와 같이 타이완 지진 발생하고 나서 골든타임이라고 그러는 72시간은 지났지만 타이완 정부와 주민들은 한 명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고요. 그렇지만 지진이 발생하고 나면 건물이 무너지고 통신이 두절되고 전기가 끊기는 이런 상황들이 벌어지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앵커]
지금 구조작업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크고 작은 여진도 수백여 차례 이어지고 있다는 보도가 계속되고 있거든요. 여진은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김광희]
이렇게 큰 지진이 발생하고 나면 여진이 따라서 발생하는 것은 아주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제가 오늘 아침에 확인을 해보니까 규모 7.2 지진이 발생한 이후에 750회 정도의 여진이 발생했고 이 지진들 중에는 사람들이 느낄 수 있는 지진도 160회 이상 포함돼 있었습니다. 물론 그중에는 아시는 바와 같이 규모 6.5 정도 되는 큰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큰 지진이, 규모가 7.2, 7.4 정도 되는 지진이 발생하고 나면 여진의 발생 또한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되는 게 보통입니다. 최소한 한 달 이상 크고 작은 지진들이 꾸준히 발생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되고요. 그 여진들 중에는 규모 6 이상 되는 비교적 큰 규모의 여진이 발생해서 추가 피해도 우려되는 그런 상황입니다.
[앵커]
교수님, 타이완 지진 계속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데 일단은 구조 작업도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고 여진도 이어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규모 7이 넘는 강진이었습니다. 지진 규모에 비해서는 피해가 좀 적다, 이런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 피해를 최소화한 비결이 있다면 어떤 게 있었을까요?
[김광희]
물론 피해가 적어 보이는 것은 사실이기도 합니다. 일단 대만 정부와 국민들의 지진에 대한 대응이 잘되어 있다는 게 가장 큰 이유일 것이고 굳이 또 얘기를 한다 그러면 이 지역이 대만 안에 인구와 시설이 많이 집중되어 있는 대만 북부나 서부에 비해서 인구도 적은 편이고 그러다 보니까 노출되어 있는 시설 또한 적은 게 사실입니다. 그렇다 보니까 다시 하면 사람과 재산이 노출되어 있는 정도가 적으니까 지진 피해도 적은 것 같다, 이런 것이고요. 그렇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만 정부와 국민들이 지진과 같은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되는지 그런 것을 잘 알고 있다는 것이에요.
대만은 오래 전부터 크고 작은 지진들이 꾸준히 발생하는, 많은 지진이 발생하는 지역입니다. 여러 번 들어보셔서 아시겠지만 1990년대 초반부터 대만은 지진 관측을 조금 더 정밀하게 진행을 해왔고요. 이런 과정을 통해서 지진이 어디에서 많이 발생하는지, 위험성이 큰지에 대한 파악을 하고 있었고 이런 파악된 과학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404080921540929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