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24] 北 우주발사체 발사 실패..."빠른 시간내 2차 발사" 예고 / YTN
Page info
Writer Date23-06-01 00:00 Hit95 Comment0Link
-
https://youtu.be/T_VH3ece2bA 24- Connection
Body
■ 출연 :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YTN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북한의 우주발사체 발사 실패의 배경과 앞으로의 전망,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북한이 쏘아올린 천리마 1형. 결국에는 비정상적인 비행을 하다가 애초에 예고했었던 그 지점에서도 도달하지 못하고 추락을 했는데 전반적으로 어떻게 보셨습니까?
[임을출]
일단 북한 측 발표 내용만 보면 2단 로켓 엔진에 이상이 있어서 그 점에서 추진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그래서 중간에 추락을 했다. 이것과 관련해서 여러의 문제가 있는 것 같다, 이게 북한 측의 발표 내용의 전부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어쨌든 북한 측 위성 발사체 잔해랄까 또 실제로 인공위성을 탑재했는지 이런 것들을 확인하는 과정들이 필요하기는 한데 북한이 그동안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기 위해서 준비해 왔던 그 과정을 보면 북한이 나름대로 이번 발사를 반드시 성공시키기 위해서 굉장히 체계적으로 준비를 해 왔다는 것은 우리가 느낄 수가 있는 겁니다.
그런데 이게 국정원 발표에 따르면 새로운 동창리 발사장을, 그러니까 건설한 지가 얼마 안 됐죠. 거의 공사가 마무리가 안 된 서해 새로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발사하다 보니까 기술적 문제가 발생한 것 같다, 이렇게 얘기를 하잖아요. 그런데 사실 이 주장도 일단 지금은 추정이거든요. 추정이지만 어쨌든 북한은 발사체가 지금 문제가 될 거라는 예상은 안 한 것 같아요. 왜냐하면 처음으로 군사정찰위성을 제작을 해서 이걸 기존에 이미 성공해 왔던 ICBM 기반의 추진체 탑재를 해서 발사를 하겠다, 이런 계획을 가져왔던 거였는데요. 그런데 인공위성 자체에는 문제가 없고 정찰위성 자체는 문제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없는데 어쨌든 기존에 성공해 왔던 발사체에 문제가 생겼다. 이 부분을 우리가 앞으로 주목해야 된다, 이렇게 보는 거죠.
[앵커]
그 점이 의문인데 탄도미사일, 기존에 북한이 발사해 온 장거리 탄도미사일 ICBM과 발사체 자체의 원리는 사실상 비슷한 것으로 우리가 이해하고 있었는데 이를테면 화성-17형이라든가 화성-18형이라든가 북한이 다 발사에 성공했단 말이죠. 그런데 이번에는 왜 실패했는지 이거는 좀 더 지켜봐야겠습니다마는 국정원이 오늘 국회 정보위에 보고한 내용을 보면 북한이 무리하게 경로를 변경하다가 기술적 문제가 발생한 것 같다, 이런 얘기를 했어요. 이건 어떤 의미일까요?
[임을출]
저도 추가 내용을 확인하려고 했는데 저도 기사를 통해서는 발견을 못했어요. 아마 우리 정보 당국에서 예측했던 발사의 방향이 있고 발사의 방향이 있는데 실제 오늘 아침에 전격적으로 발사한 경로를 보니까 원래 예측했던 경로보다는 동쪽으로 발사를 했다, 이렇게 보는 것 같아요. 일단 남쪽으로 발사는 했는데 상대적으로 동쪽으로 발사를 하다 보니까 무리하게 발사하다 보니까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다, 이렇게 얘기를 하는 거거든요.
그런데 지금 결국은 우리 정보 당국에서 판단하는 것은 공사가 채 마무리 안 된 새로운 로켓 발사장, 동창리에 있는 추진체 발사장에 발사를 하다 보니까 문제가 생긴 것 같다, 이렇게 해석하는 것 같거든요, 우선은. 왜냐하면 경로를 변경해서, 그러니까 무리하게 경로를 변경하다 보니까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다, 이렇게 얘기는 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사실 좀 더 추가적인 정밀한 조사를 해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305311940466485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