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경기 낙관론에도…업종별 편차 있을 듯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Page info
Writer Date24-06-22 00:00 Hit46 Comment0Link
-
https://youtu.be/f9ZhvNoe3gQ 3- Connection
Body
\r
[앵커]\r
\r
오랜 기간 침체됐던 경기가 수출을 중심으로 조금씩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r
\r
반도체 산업이 하반기 강한 회복세를 나타낼 전망인데요. \r
\r
건설업에선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돼, 업종별로 명암이 갈렸습니다. \r
\r
박지운 기자입니다.\r
\r
[기자]\r
\r
지난달 말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올렸습니다.\r
\r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크게 늘어난 점을 고려한 겁니다.\r
\r
[김웅 / 한국은행 부총재보 (지난달 23일)] "IT경기는 AI 투자 수요에 힘 입어 당초 예상보다 상승세가 빠를 것으로 전제했습니다. 이런 기본 가정에 기초해 한국은행은 경제성장률을 금년 2.5% 내년 2.1%로 전망…"\r
\r
최근 한국경제인협회도 올 하반기 경기에 대해 '낙관론'을 내놨습니다.\r
\r
하지만 업종별 전망에는 편차가 나타났습니다.\r
\r
반도체·전자전기와 조선 산업에는 호조를 예측했지만, 자동차, 석유, 이차전지 산업은 혼조를 전망했고, 건설 산업에 대해선 부진 전망을 내놨습니다. \r
\r
한국개발연구원 KDI도 건설투자 등 건설업과 관련해 둔화 흐름을 진단했습니다.\r
\r
누적된 고금리 기조와 국제 유가 불안 등에 따른 건설 경기 침체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상황입니다.\r
\r
[권대중 /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 "원자재 값이 상승한 게 내려오지 않고 있기 때문에 건설 수주는 아마도 예전보다 상당히 저조한 실적을 보일 가능성이 높고요."\r
\r
전문가들은 상반기보다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인이라면서도, 건설 경기가 한 번에 회복되진 않을 거라 설명했습니다.\r
\r
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 (zwoonie@yna.co,kr)\r
\r
#경제전망 #수출 #내수\r
\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r
\r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r
https://goo.gl/VuCJMi\r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
http://www.yonhapnewstv.co.kr/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