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인터뷰] 소득주도성장 국제 컨퍼런스 개막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Page info
Writer 연합뉴스TV Date19-12-02 00:00 Hit20 Comment0Link
-
https://youtu.be/8SAlYGr73Ss 2- Connection
Body
[앵커]
오늘 서울 코엑스에선 소득주도성장 국제 컨퍼런스 행사가 열린다고 합니다.
주제는 '세계가 바라본 한국의 소득주도성장'인데요.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에 대한 다각적인 평가와 제언을 제시해준다고 합니다.
[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홍장표 위원장을 만나 이번 국제컨퍼런스의 핵심 내용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서 들어본다고 합니다.
박진형 기자 나와 주시죠.
[기자]
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홍장표 위원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홍장표 /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
안녕하십니까?
[기자]
오늘부터 이제 국제컨퍼런스가 열린다고 하는데 어떤 컨퍼런스인지 간단하게 소개를 해 주시죠.
[홍장표 /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
오늘 저희들 국제컨퍼런스는 세계가 바라본 한국의 소득주도성장이라는 주제로 IMF, ILO 그리고 OECD, UN과 같은 다양한 국제기구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한국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한 일종의 평가 그리고 향후 제언을 듣는 자리로 마련하였습니다.
[기자]
굉장히 많은 국제기구가 참석하게 되는데 이렇게 많은 국제기구가 관심을 갖는 이유는 어디에 있습니까?
[홍장표 /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그리고 포용적 혁신국가, 혁신적 포용국가에 대해서는 그동안 각 국제기구에서 다양한 형태로 권고를 해 왔던 내용이 됩니다.
특히 OECD나 IMF 같은 경우에는 포용성장을 권고해 왔고요. ILO에서는 임금주도 성장을 권고해 왔고요.
그런 면에서 한국이 이것을 전면적으로 채택해서 포괄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 대단한 관심사가 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기자]
오후까지 이어지는 컨퍼런스인데 꼭 봐야 될 포인트가 있다면 어떤 게 있을까요?
[홍장표 /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
두 가지 포인트가 있는데요.
첫 번째 오전 세션에서는 OECD의 포용성장 연구단이 세 분이 오셔서 한국의 소득주도성장과 포용성장에 대해서 분석을 해서 정책 제언을 해 주는 이런 자리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그동안 포용성장과 관련해서 OECD에서는 다각도로 한국을 첫 번째 사례 국가로 선정하여서 그래서 적극적으로 정부와 협력하고 있는 그런 관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포인트는 오후 세션인데요.
오후에서는 유럽, 캐나다 그리고 일본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각국의 포용성장과 소득주도성장의 정책 경험을 공유하고 관련해서 전반적으로 실제로 포용성장과 소득주도성장이라는 것이 일종의 전 세계적인 흐름이다라는 그와 같은 메시지를 던질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자]
소득주도성장 성과에 대해서 좀 견해가 엇갈리고 있는 것 같은데 특히 최근에는 재정을 너무 많이 투입한 재정주도 성장이 아니냐 이런 비판이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계신지요?
[홍장표 /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
일부 그런 비판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현재와 같이 경제가 어려운 사정에서는 정부가 나라의 곳간을 일정하게 풀어서 민간의 일자리와 그리고 소득을 지원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것은 당연히 정부가 해야 될 그런 역할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요.
소득주도성장은 그뿐만 아니라 실제로 한국의 경제체질을 개선해서 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을 높이는 그와 같은 정책을 추구한다, 그렇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기자]
오늘 바쁘신데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홍장표 /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
감사합니다.
[기자]
지금까지 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